◦ 글쓰기 학생 동아리 운영
- 국어과 한 학기 한 권 책 읽기와 연계한 독서 모임 운영
- 독서 습관 형성과 학급내 책읽는 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도서관 이벤트, 모둠 책모임, 필사, 한글날 기념 독서 인증, 읽은 책으로 연극하기 등
- 글쓰기 기초를 다지기 위한 ‘모둠 책모임’ 운영 (월 1권, 수시)
(운영방법) 같은 책을 고른 학생이 같은 모둠이 됨. 읽기 전 함께 계획을 세우워 함께
읽고 인상 깊은 문장과 이유, 나누고 싶은 질문을 꿈자람 독서록에 기록함. 아침활동
시간에 각자 읽은 소감과 질문을 이야기 나눔
- 글쓰기 기초를 다지기 위해 ‘작가 노트’를 사용하여 동시와 그림책 필사 운영 (연중)
(운영방법) 학급 문고를 구비하여 (동시와 그림책 100권 이상) 지속적으로 활용. 읽고 싶은
동시집 (또는 그림책)을 고르고 인상적인 부분을 필사한 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기록
- 공감 만화 만들기(7월), 생태 그림책 만들기(10월) 프로젝트 운영
- 과정중심 피드백 적용 교과 연계 동시·생활문 쓰기 프로그램 운영
(운영방법) ‘개요짜기 – 얼른 쓰기 - 자세히 쓰기 - 피드백 - 고쳐쓰기- 다시 고쳐쓰기’를
과정중심 피드백을 적용하여 실시함. (연중)
- 학급 밴드, 띵커벨, 패들랫, 구글문서 등을 활용한 소통과 글쓰기 지도
- ‘학교 숲 ’을 주제로 한 학교 동시 공모전에 학급 전체가 참여하여 전원 입상(11월)
- ‘4학년 4반 아이들’학급 문집 제작 및 도서 출판(부크크 자비출판, 12월)
◦ 동학년 교사 자료 공유 및 협의회 운영
- 글쓰기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자체 교사 워크숍 운영
- 독서와 글쓰기 문화 확산을 위한 동학년 교사 자료 공유 및 협의회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