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중학교] 2024 읽걷쓰 저자출판지원 운영 사례

운영 도움 자료사례 나눔 자료

[동산중학교] 2024 읽걷쓰 저자출판지원 운영 사례

동산
0
79
2024.12.19 12:43

1. 운영 개요

. 교육과정 연계 읽쓰 내실화 지원 및 학교 내 안착

- 다양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통해 읽쓰 활동이 학생들의 학습과 학교 문화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 음.

- 아침 독서 활동 및 한 학기 한 책 읽기 등을 통해 읽기 문화 정착에 기여.

. 학생들의 학습 역량과 질문하고 상상하는 힘 함양

-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관점을 접하며 질문과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유도함.

- 세계시민교육 도서 제작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협업 능력이 증진됨.

. 쓰 문화 확대 및 정착

- 학생, 학부모, 교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교육공동체의 연대감 강화.

- 학교 신문과 세계시민교육 도서 제작으로 읽쓰 활동이 단순한 독서에 머물지 않고 실질적인 결

과물로 이어짐.

2. 주요 활동 결과

. 아침 독서 활동

- ‘하루 한 글 읽기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들의 짧은 글 읽기 습관 형성.

- 한 학기 한 책 읽기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

- 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 85% 이상이 독서 시간이 유익하다고 응답함.

. 도서 제작 활동

- 3주체 교육공동체와 함께 주제를 선정하고 자료 조사 및 정리를 통해 도서 제작.

- 학교 신문과 세계시민교육 도서를 제작.

. 제작 도서 목록

- 학교 신문: 해오름’, ‘동산헤럴드

- 영어로 알아보는 동화책: ‘The adventure of Sandong and Jenny’

- 세계시민교육 도서: 공감’, ‘인천

- 학생들은 해당 지역 탐방 및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경험을 쌓았으며, 학습 내용의 실천력을 높임.

3. 성과 분석

. 장점

- 교육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운영됨.

- 읽기, 걷기, 쓰기 활동이 연계되어 학습 효과가 높아짐.

- 도서 제작 과정에서 학생들이 협력, 조사,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며 전인적 성장을 도모함.

. 개선점

- 아침 독서 시간 확보를 위해 기존 활동 일정을 재조정할 필요성.

- 일부 학생들에게는 긴 글 읽기에 대한 집중력이 부족하여 단계별 지원이 필요.

- 도서 제작 과정의 일정 조율 및 자료 확보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 필요.

4. 결론 및 제안

. 결론

- 읽걷쓰 활동은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학교 내 정착 및 확대의 발판을 마련하였음. 특히 학생들의 학

습 역량 강화와 교육공동체의 협력을 통한 성과물 제작으로 읽걷쓰 문화가 활성화됨.

. 제안

- 매 학기마다 읽쓰 활동 평가 및 개선 방안 마련.

- 긴 글 읽기를 위한 학생별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 개발.

- 도서 제작 활동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 확대. 

0 Comments